Developing Myself Everyday
article thumbnail
코틀린 리플렉션과 애노테이션 그리고 함수 참조
Android/Kotlin 2023. 11. 5. 18:44

사진: Unsplash의Elisa Photography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함수 참조를 사용해야 할까??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리플렉션은 최대한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참고하고 있는 다른 Github에서 함수를 함수 참조로 사용하는 것을 보고, 내가 가지고 있던 생각이 잘못되었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게시글에서 코틀린의 리플렉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함수 참조와 무엇이 다른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참고: 이 게시글에서는 각각에 대한 사용법을 다루고 있지는 않습니다. 리플렉션(Reflection)이란? 리플렉션은 프로그램이 런타임에서 자체 소스 코드를 내부 검사해, 클래스의 정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리플렉션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JVM..

article thumbnail
안드로이드에서 Context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
Android 2023. 11. 3. 18:15

사진: Unsplash의Anne Nygård 안드로이드에서 Context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다만 모두가 다 같은 Context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프래그먼트에서 액티비티의 Context에 접근할 때, 왜 캐스팅을 해야만 Context를 사용할 수 있을까? 란 의문점에서 이번 게시글에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액티비티에서 Context를 얻는 방법 액티비티에서 직접 Context 얻기 - `this` Context가 필요한 곳이 액티비티라면 Context을 얻을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this`입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 지는 액티비티의 상속 구조를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액티비티는 추상 클래스인 Context를 구현한 ContextImpl 클래스를 내부적으로 이용..

article thumbnail
안드로이드가 화면을 그리는 방법을 제대로 알아보기
Android 2023. 10. 25. 17:20

사진: Unsplash의Anna Kolosyuk 우리는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면서 XML을 통해 화면을 그리고 이를 사용해 왔습니다. 그런데 이게 어떤 과정으로 어떻게 이뤄지는지 생각해본적은 없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게시글에서 안드로이드가 화면을 어떻게 그리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의 요청 안드로이드의 프레임워크는 Activity가 포커스를 받을 때, 레이아웃을 그리도록 Activity에 요청합니다.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는 알아서 그리기 절차를 처리하지만 Activity에서는 레이아웃 계층 구조의 루트 노드를 제공해야 합니다. 루트노드는 `setContentView()` 메서드를 통해 제공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안드로이드를 개발하면서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고 루..

article thumbnail
Compose의 Layout 단계
Android/Compose 2023. 10. 24. 15:47

JetPack Compose에 대한 이해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면서 Compose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이제는 많이 뒤져치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Compose를 제대로 공부해보고 있습니다. 다만 누가 "Compose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느냐?" 라고 everyday-develop-myself.tistory.com 위의 게시글에서 Compose는 상태(State)를 UI로 변환하는데 3단계로 진행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저번 게시글에서 설명했던 Composition 단계에 이어서 Layout 단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 게시글의 내용은 아래의 영상에서 참고하였습니다. Layout 단계 Composition 단계에서는 composable 함수를 실행하고 다양한 상태의 여러 가지 UI ..

article thumbnail
Compose에서의 State(상태)
Android/Compose 2023. 10. 5. 13:45

사진: Unsplash의Braden Collum 이전에 아래의 게시글에서 상태에 대해 알아본적이 있습니다. State와 StatedFlow, SharedFlow에 대해 알아보기 State란? State는 객체 지향 관점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로 객체가 특정 시점에서 어떤 데이터 값을 가지고 있는지 나타내는 것으로, 객체의 특성이나 속성을 나타냅니다. 안드로이드의 UI 레이어 everyday-develop-myself.tistory.com 앱의 상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Compose에서 앱의 상태를 어떻게 저장하고 사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Compose와 상태 Compose는 선언형 UI 프레임워크로 Composition을 통해 UI를 기술합니다. ..

article thumbnail
JetPack Compose에 대한 이해
Android/Compose 2023. 10. 4. 10:21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면서 Compose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이제는 많이 뒤져치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Compose를 제대로 공부해보고 있습니다. 다만 누가 "Compose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느냐?" 라고 묻는다면 "그건 선언적 UI야" 라고밖에 말할 수 없을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아래의 게시글을 보면서 Compose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Understanding Jetpack Compose — Part 1 of 2 Better UI building with Compose medium.com Under the hood of Jetpack Compose — part 2 of 2 Under the hood of Compose medium.com Jetpack Compose는 무엇인가..

article thumbnail
StateFlow, SharedFlow에 대해 알아보기
Android/Kotlin 2023. 10. 1. 19:14

State란? State는 객체 지향 관점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로 객체가 특정 시점에서 어떤 데이터 값을 가지고 있는지 나타내는 것으로, 객체의 특성이나 속성을 나타냅니다. 안드로이드의 UI 레이어 가이드에서는 UI 레이어의 UI State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수단으로 단방향 데이터 흐름(UDF)을 설명합니다. 이러한 State는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상태 홀더인 ViewModel을 통해 관리됩니다. 상태 홀더인 ViewModel은 앱이 상태를 읽을 수 있도록 상태를 저장합니다. 로직이 필요한 경우 필요한 로직을 호스팅하는 데이터 소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제공합니다. LiveData 이러한 State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안드로이드에서는 LiveData를 사용했습니다. ..

article thumbnail
Kotlin Flow와 Sequence
Android/Kotlin 2023. 10. 1. 19:14

사진: Unsplash의Solen Feyissa 시퀀스(Sequences)와 Flow 시퀀스는 Iterable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다른 접근 방식을 구현합니다. 바로 가능한 한 지연 실행(Lazy Evaluation) 한다는 것입니다. 시퀀스를 사용하면 실제 계산은 전체 처리 체인의 결과가 요청될 때만 발생합니다. 시퀀스는 각 요소에 대해 모든 처리 단계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수행합니다. 따라서 시퀀스를 사용하면 중간 단계의 결과를 만들지 않고 전체 컬렉션 처리 체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시퀀스와 중단 함수 아래와 같은 예시를 보겠습니다. fun simple(): Sequence = sequence { // sequence builder for (i in 1..3) { Thread.s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