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Myself Everyday
 

17144번: 미세먼지 안녕!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구사과는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려고 한다.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구사과는 집을 크기가 R×C인 격자판으로 나타냈고, 1×1 크기의 칸으로 나눴다. 구사

www.acmicpc.net

문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구사과는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려고 한다.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구사과는 집을 크기가 R×C인 격자판으로 나타냈고, 1×1 크기의 칸으로 나눴다. 구사과는 뛰어난 코딩 실력을 이용해 각 칸 (r, c)에 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공기청정기는 항상 1번 열에 설치되어 있고, 크기는 두 행을 차지한다.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칸에는 미세먼지가 있고, (r, c)에 있는 미세먼지의 양은 Ar,c이다.

1초 동안 아래 적힌 일이 순서대로 일어난다.

  1. 미세먼지가 확산된다. 확산은 미세먼지가 있는 모든 칸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 (r, c)에 있는 미세먼지는 인접한 네 방향으로 확산된다.
    • 인접한 방향에 공기청정기가 있거나, 칸이 없으면 그 방향으로는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다.
    • 확산되는 양은 Ar,c/5이고 소수점은 버린다.
    • (r, c)에 남은 미세먼지의 양은 Ar,c - (Ar,c/5)×(확산된 방향의 개수) 이다.
  2. 공기청정기가 작동한다.
    • 공기청정기에서는 바람이 나온다.
    • 위쪽 공기청정기의 바람은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고, 아래쪽 공기청정기의 바람은 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
    • 바람이 불면 미세먼지가 바람의 방향대로 모두 한 칸씩 이동한다.
    • 공기청정기에서 부는 바람은 미세먼지가 없는 바람이고, 공기청정기로 들어간 미세먼지는 모두 정화된다.

다음은 확산의 예시이다.

 

왼쪽과 위쪽에 칸이 없기 때문에, 두 방향으로만 확산이 일어났다.

 

인접한 네 방향으로 모두 확산이 일어난다.

 

공기청정기가 있는 칸으로는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다.

공기청정기의 바람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순환한다.

 

방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T초가 지난 후 구사과의 방에 남아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R, C, T (6 ≤ R, C ≤ 50, 1 ≤ T ≤ 1,000) 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R개의 줄에 Ar,c (-1 ≤ Ar,c ≤ 1,000)가 주어진다.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곳은 Ar,c가 -1이고, 나머지 값은 미세먼지의 양이다. -1은 2번 위아래로 붙어져 있고, 가장 윗 행, 아랫 행과 두 칸이상 떨어져 있다.

출력

첫째 줄에 T초가 지난 후 구사과 방에 남아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출력한다.

 

 

 

나의 풀이

이 문제는 구현 문제로 주어진대로 차례차례 진행하면 되는 문제이다 .헷갈리기 쉬우니까 천천히 접근해야 한다. 이 문제는 다음 2단계로 나눠져 있다.

  1. 미세먼지 확산
  2. 공기청정기 작동

1. 미세먼지 확산

미세먼지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미세먼지의 위치를 전부 파악하고 해당하는 위치에 모든 방향에 미세먼지를 옮겨야 한다. 다만 미세먼지는 한번에 확산됨으로 배열을 하나 더 두고 확산되는 양을 따로 저장해야 한다.

 

2. 공기청정기 작동

공기청정기가 작동하는 방향을 전부 구현해야 한다. 복잡하지만 천천히 접근하면 해결할 수 있다.

 

 

import java.util.*

val dx = arrayOf(1, 0, 0, -1)
val dy = arrayOf(0, 1, -1, 0)

lateinit var graph: Array<IntArray>

var robotTop = 0
var robotBottom = 0

fun main() = with(System.`in`.bufferedReader()) {
    val (r, c, t)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graph = Array(r) { readLine().split(" ").map { it.toInt() }.toIntArray() }

    // 로봇의 위치를 찾음
    for (i in 0 until r) {
        if (graph[i][0] == -1 && robotBottom == 0) {
            robotTop = i
            robotBottom = i + 1
        }
    }

    repeat(t) {
        // 먼지의 위치를 찾음
        val dust = mutableListOf<Pair<Int, Int>>()

        for (i in 0 until r) {
            for (j in 0 until c) {
                if (graph[i][j] > 0)
                    dust.add(i to j)
            }
        }

        speadDust(r, c, dust)
        windCycleTop(c)
        windCycleBottom(r, c)
    }

    var sum = 2
    graph.forEach {
        sum += it.sum()
    }

    println(sum)
}

// 먼지 확산
fun speadDust(r: Int, c: Int, dust: MutableList<Pair<Int, Int>>) {
    val speadGraph = Array(r) { IntArray(c) }

    dust.forEach {
        val (x, y) = it

        val speadAmount = graph[x][y] / 5
        for (i in 0..3) {
            val tempX = x + dx[i]
            val tempY = y + dy[i]

            if (tempX in 0 until r &&
                tempY in 0 until c &&
                graph[tempX][tempY] != -1) {
                speadGraph[tempX][tempY] += speadAmount
                graph[x][y] -= speadAmount
            }
        }
    }

    dust.forEach {
        speadGraph[it.first][it.second] += graph[it.first][it.second]
    }

    // 그래프에 바뀐 먼지의 위치와 로봇의 위치 다시 지정
    graph = speadGraph.copyOf()
    graph[robotTop][0] = -1
    graph[robotBottom][0] = -1
}

fun windCycleTop(c: Int) {
    // [0, 0]부터 [로봇, 0]까지
    for (i in robotTop - 2 downTo 0) {
        graph[i + 1][0] = graph[i][0]
    }
    // [0, c]부터 [0, 0]까지
    for (i in 0 until c - 1) {
        graph[0][i] = graph[0][i + 1]
    }
    // [로봇, c]부터 [0, c]까지
    for (i in 0 until robotTop) {
        graph[i][c - 1] = graph[i + 1][c - 1]
    }
    // [로봇, 0]부터 [로봇, c]까지
    for (i in c - 1 downTo 2) {
        graph[robotTop][i] = graph[robotTop][i - 1]
    }
    graph[robotTop][1] = 0
}

fun windCycleBottom(r: Int, c: Int) {
    // [r, 0]부터 [로봇, 0]까지
    for (i in robotBottom + 1 until r - 1) {
        graph[i][0] = graph[i + 1][0]
    }
    // [r, c]부터 [r, 0]까지
    for (i in 0 until c - 1) {
        graph[r - 1][i] = graph[r - 1][i + 1]
    }
    // [로봇, c]부터 [r, c]까지
    for (i in r - 1 downTo robotBottom + 1) {
        graph[i][c - 1] = graph[i - 1][c - 1]
    }
    // [로봇, 0]부터 [0, c]까지
    for (i in c - 1 downTo 2) {
        graph[robotBottom][i] = graph[robotBottom][i - 1]
    }
    graph[robotBottom][1] = 0
}


'백준 >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55번 - 컨베이어 벨트 위의 로봇  (0) 2023.07.25
14719번: 빗물 - Kotlin  (0) 2023.07.23
15685: 드래곤 커브 - Kotlin  (0) 2023.05.23
14890번: 경사로 - Kotlin  (0) 2023.03.29
14503번: 로봇 청소기 - Kotlin  (0) 2023.02.24
profile

Developing Myself Everyday

@배준형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