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Unsplash의Tahlia Doyle List에 대해서 배울 때, 우리는 일반적으로 MutableList와 비교하며 List는 변경될 수 없는 Immutable한 컬렉션이라고 배웠습니다. 다만, 이는 큰 관점에서는 틀린 정보입니다. 그래서 이번 게시글에서는 List가 왜 Immutable하지 않는지, 그리고 Immutable한 컬렉션은 뭐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List는 Immutable하지 않다!List는 Read-only라고 말합니다. 변경할 수 없고, 오직 읽을 수만 있는 컬렉션이라고 우리는 배워왔습니다. 다만, 이는 넓은 관점에서는 틀린 말입니다. 아래의 코드를 보겠습니다. 변수 `number`는 val로 선언되어 있기 때문에 변경될 수 없습니다.class Example { ..

사진: Unsplash의Tim Wildsmith 안드로이드의 최신 버전(저의 경우에는 Hedgehog)을 사용하고 계신다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의 기본 설정이 Compose에 최적화된 설정이라는 것을 알고 계실 겁니다. 기본 템플릿에는 Compose와 관련된 기본적인 Gradle 설정이 아래와 같이 되어 있습니다. ... android { ... buildFeatures { compose = true } composeOptions { kotlinCompilerExtensionVersion = "1.4.3" } ...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androidx.core:core-ktx:1.12.0") implementation("androidx.lifecycle:lifec..

사진: Unsplash의Siora Photography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면서 의미도 모르고 사용했던 것이 있습니다. 바로 dp와 sp입니다. 최근에 xml을 작성해 보신 분들이라면, 분명 아래의 멘트를 보셨을 겁니다. 또한 Compose 라이브러리에 있는 TextField는 오직 sp만을 지원합니다. 그렇기에 저는 이번 게시글에서 지금까지 그냥 지나쳤던 안드로이드의 크기 단위에 대하여 공부하고자 합니다. 여러 가지 단위 리소스 유형 더보기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이 페이지에서는 부울, 색상, 크기, ID, 정수, 정수 배열, 유형이 지정된 배열 리소스를 비롯하여 외부화할 수 있는 더 많은 리소스 유형을 정의합니다. developer.android.com px 안..

사진: Unsplash의Emily Morter 저는 요즘 Compose를 배우고 사용하면서 Compose에 매력에 깊게 빠져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프로젝트를 Compose로 다시 만들어보기도 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도 거의 Compose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Compose로 만든 앱을 실행해 보면, 이상하게 버벅거리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리스트를 스크롤할 때나 애니메이션을 구성했을 때가 특히 그랬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코드와는 상관없이 버벅거림에 대한 해결방안과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해결방안 가장 간단하게 Compose로 구성한 화면의 버벅거림을 해결하는 방법은 Release mode와 R8을 사용하여 빌드하는 것입니다. 이를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드로이드의 2가지 빌드 방..

사진: Unsplash의henry perks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사용자에 위치에 근처에 있는 관광지를 추천해 주는 기능을 추가하면 어떨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안드로이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다만 해당 게시글에서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에 그치기에 생략된 부분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구조와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에 대해 이해하지 않으면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Set up 가장 최근에 알려진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Google Play services location APIs` 를 사용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아래의 공식문서에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알려진 위치 가져오기 | Sensors and location |..

사진: Unsplash의Alina Grubnyak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 보면 HTTP 요청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HTTP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로는 Retrofit2이 있습니다. Retrofit2은 클라이언트와 서버사이에 비동기적인 네트워크 요청 처리를 해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인터페이스에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생각보다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만, Retrofit2은 기본적으로 자바 라이브러리입니다. 현재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들은 코틀린 멀티 플랫폼을 위해 코틀린만으로 구성된 라이브러리로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렇기에 Retrofit2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에도 제한 사항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제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코틀린만으..
1장을 시작하며 사람들이 코틀린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코틀린의 안정성(Safey)입니다. 코틀린은 다양한 설계지원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잠재적인 오류를 줄여줍니다. 다만, 코틀린을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개발자가 뒷받침을 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장에서는 코틀린이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기능들을 알아보고, 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입니다. 이번장의 목표는 `오류가 덜 발생하는 코드를 만드는 것`입니다. 아이템 1 - "가변성을 제한하라" 상태(state) var을 사용하거나 mutable 객체를 사용하면 값이 변동될 여지가 생기게 됩니다. 이를 상태(state)라고 합니다.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경우, 이제는 객체의 사용 방법뿐만이 아니라 객체의 상태에 대한 이력(history..

사진: Unsplash의Arisa Chattasa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면서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와야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발생합니다. 이때 서버에서 보내주는 데이터의 형식은 대부분 JSON 데이터 형식으로 보내집니다. 이러한 JSON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직렬화(Serialization) 과정을 거쳐야 하고, JSON 데이터를 받아서 원하는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려면 역직렬화(Deserialization) 과정을 가져야 합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안드로이드에서 이러한 JSON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Json 먼저 Json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Json 응답은 대괄호로 표시된 배열입니다. Json 객체는 중괄호로 묶여 있고, 각 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