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pikisuperstar 출처 Freepik
문제
지민이는 파티에 가서 이야기 하는 것을 좋아한다. 파티에 갈 때마다, 지민이는 지민이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를 한다. 지민이는 그 이야기를 말할 때, 있는 그대로 진실로 말하거나 엄청나게 과장해서 말한다. 당연히 과장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훨씬 더 재미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과장해서 이야기하려고 한다. 하지만, 지민이는 거짓말쟁이로 알려지기는 싫어한다. 문제는 몇몇 사람들은 그 이야기의 진실을 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이 파티에 왔을 때는, 지민이는 진실을 이야기할 수 밖에 없다. 당연히, 어떤 사람이 어떤 파티에서는 진실을 듣고, 또다른 파티에서는 과장된 이야기를 들었을 때도 지민이는 거짓말쟁이로 알려지게 된다. 지민이는 이런 일을 모두 피해야 한다.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그리고 그 이야기의 진실을 아는 사람이 주어진다. 그리고 각 파티에 오는 사람들의 번호가 주어진다. 지민이는 모든 파티에 참가해야 한다. 이때, 지민이가 거짓말쟁이로 알려지지 않으면서, 과장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파티 개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과 파티의 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이야기의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와 번호가 주어진다.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가 먼저 주어지고 그 개수만큼 사람들의 번호가 주어진다. 사람들의 번호는 1부터 N까지의 수로 주어진다.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각 파티마다 오는 사람의 수와 번호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다.
N, M은 50 이하의 자연수이고,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는 0 이상 50 이하의 정수, 각 파티마다 오는 사람의 수는 1 이상 50 이하의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
나의 풀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파티의 사람들을 묶어서 분류하고 해당 진실을 아는 사람이 분류에 있다면 그 분류의 사람들은 전부 진실을 아는 사람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1️⃣ 처음엔 파티를 기준으로 사람들을 묶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Union - Find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 값은 인원을 나타냄으로 인원이 1일때는 묶지 않게 합니다.
val parties = Array(m)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
for (party in parties) {
val personnel = party[0]
if (personnel == 1) continue
for (j in 1 until personnel) {
union(party[j], party[j + 1])
}
}
2️⃣ 그 다음으로는 진실을 알고 있는 사람과 같은 분류에 있는 사람의 상태를 바꿔야 합니다. 유니온 파인드에 파인드는 부모 노드를 찾습니다. 부모 노드가 같다면 두 노드는 같은 분류에 속한다는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for (i in 1..n) {
if (knowTrue[i]) {
for (j in 1..n) {
if (find(i) == find(j)) {
knowTrue[j] = true
}
}
}
}
3️⃣ 마지막으로 파티를 다시 한번 탐색합니다. 이미 모든 파티의 인원을 분류해 놨고 해당 파티에 있는 인원은 모두 진실을 알거나, 모르기 때문에 첫번째 값만 체크하고 카운트하면 됩니다.
var cnt = 0
for (party in parties) {
if (!knowTrue[party[1]]) cnt++
}
전체 코드
lateinit var graph: Array<Int>
fun main() = with(System.`in`.bufferedReader()) {
val (n, m)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graph = Array(n + 1) { it }
val knowTrueGroup = readLine().split(" ").map { it.toInt() }.toIntArray()
if (knowTrueGroup.first() == 0) {
println(m)
return@with
}
val knowTrue = BooleanArray(n + 1)
for (i in 1 until knowTrueGroup.size) {
knowTrue[knowTrueGroup[i]] = true
}
val parties = Array(m)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
for (party in parties) {
val personnel = party[0]
if (personnel == 1) continue
for (j in 1 until personnel) {
union(party[j], party[j + 1])
}
}
for (i in 1..n) {
if (knowTrue[i]) {
for (j in 1..n) {
if (find(i) == find(j)) {
knowTrue[j] = true
}
}
}
}
var cnt = 0
for (party in parties) {
if (!knowTrue[party[1]]) cnt++
}
println(cnt)
}
fun find(x: Int): Int {
if (x != graph[x]) {
graph[x] = find(graph[x])
return graph[x]
} else {
return x
}
}
fun union(x: Int, y: Int) {
val tempX = find(x)
val tempY = find(y)
if (tempX != tempY) {
graph[tempX] = tempY
}
}
'백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93번: 탑 - Kotlin, Java (Stack) (0) | 2023.09.16 |
---|---|
2470번: 두 용액 - Kotlin, Java (투 포인터) (0) | 2023.09.14 |
1717번: 집합의 표현 - Kotlin (Union - Find) (0) | 2023.09.10 |
1629번: 곱셈 - Kotlin (분할 정복을 이용한 거듭제곱) (0) | 2023.05.23 |
9953번: 문자열 폭발 - Kotlin (스택) (0) | 2023.05.16 |